본문 바로가기
재테크/주식

그래서 공매도 (Short Selling)는 과연 좋은 걸까? 나쁜 걸까?

by Arete- 2021. 5. 4.
반응형

안녕하세요 :)

오늘은 국내 주식 시장에서 핫이슈인 공매도에 관련 된 포스팅을 진행하려고 합니다.

 

공매도란 무엇일까?

공매도(空賣渡)),의 '공' 자는 '빌 공' 한자를 씁니다. 말 그대로 비어있는 매도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비어있는데 뭘 매도 한다는 거지???

공갈빵 ㅋㅋ

공갈빵도 아니고 처음에는 이해가 쉽게 가지 않습니다.

주식이란건,

내가 싼 가격에 매수를 해서, 비싼 가격에 되파는 식으로 차액을 얻는 경제 행위입니다.

하지만 공매도는 순서가 바뀝니다.

 

내가 현재는 주식이 없지만,

 

 1. 비싸게 먼저 팔고

 2. 나중에 싸게 사서 갚는 방식

 

으로 수익을 내는 구조입니다.

예를 들어볼까요?

 

 "A 라는 사람이 현재 주식을 가지고 있지 않지만, B라는 사람한테 주식가격일정 이자를 내고 빌립니다.

  그리고 A는 빌린 주식을 매도합니다.

  이후 주식 가격이 하락하면 그때 주식을 매수합니다.

  그리고 A는 B에게 빌렸던 주식을 갚습니다."

 

 

A는 실제로 주식을  가지고 있지 않았지만, 빌려서 매도한 다음에,

가격이 하락할 때 주식을 매수해서 차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국내 주식시장, 공매도 재오픈!

공매도 관련 가사들 @구글 뉴스 검색

2021년 5월 3일(월) 부터 국내 주식시장에 공매도가 다시 가능해졌습니다.

 

그렇다면 언제 중단이 됐던 걸까요?

바로, 작년 2020년 3월 코로나19 바이러스가 확산되면서 국내 주식 시장이 급락했습니다.

이때는 국내 주식시장 뿐만 아니라, 미국, 유럽 등 세계 증시가 정말 바닥을 쳤었죠 ㅜ

 

아래 나스닥100 차트입니다.

승승장구 하던 지수가 3월 20일에 저가 기준 7000포인트 아래로 떨어졌습니다.

9750포인트 정도에서 2700포인트 넘게 급락을 했었죠.

정말 저 당시에는 세계가 망하는 것처럼 보였습니다 ㅜ ㅎㄷㄷ 

그리고 코스피 지수도 함께 확인해볼까요?

 

어마어마 하죠... 크..

2200, 2300 포인트를 바라보고 있었는데요,

순식간에 최저점 1439 포인트를 찍었습니다.

 

정말 많은 분들이 힘드셨던 기간이었죠 ㅜ(물론 지금도 코로나로 많이 힘듭니다 ㅜㅜ)

 

그래서 정부에서는 3월부터 6개월간 공매도를 금지하는 시장 조치를 의결했습니다.

하지만 코로나는 쉽게 종식되지 않았고,

한 번더 공매도 중지 기간을 연장했고 1년간 금지하기로 합니다.

 

하지만... 코로나는 변이를 일으키고 계속해서 확산됐습니다.

그래서 금융위원회에서는 3월 15일까지 금지하기로 했던 조치를 더 연기해서 5월 2일까지 연기하기로 했던 겁니다.

 

 

그러고보면 시간이 참빠르게 지나간 것 같네요-

 

공매도의 장단점은?

공매도는 장단점을 모두 가지고 있다고 전문가들은 말합니다.

먼저 장점으로,

 

 1. 주식 시장에서 효율성이 높아짐

 매수와 매도의 균형으로 이루어지는 주식시장에서, 매수는 제한이 없이 매수할 수 있어서 무한정 주식 가격을 높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시장이 악화될 것이라는 전망과 의견이 받아들여지기 힘들겠죠.

하지만 공매도가 가능하다면 그러한 강한 매수 세력을 경계할 수 있습니다.

 

2. 주식시장에서 유동성이 늘어남

 주가가 높아질 거라고 생각할 때, 주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시장에 주식을 내놓지 않습니다. 그래서 주식을 사고자 하는 사람들은 살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죠. 그럼 거래가 성사되지 않아서 유동성도 낮아집니다.

이때 공매도가 가능하다면, 먼저 매도하고 나중에 매수하는게 가능하기 때문에 유동성이 늘어나게 됩니다.

 

3. 기업의 현재 상황, 가치, 방향성을 깊이 알 수 있음

 우리나라는 익숙하지 않지만, 미국에는 '공매도 보고서' 라는게 매년 수백, 수천개에 이르도록 발행됩니다.

그중에 대부분은 근거없는 주장이기도 하지만, 최근 니콜라 공매도 보고서를 보면 기업의 실체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됐다고 인식하고 있습니다. (보고서 내용이 모두 진실이진 않지만, 부족한 기술을 마치 보유하고 있는 것처럼 시장을 속였던 부분이 드러났습니다.)

공매도 보고서를 통해 회사, 기업을 견제할 수 있고, 소비자, 시장은 그 회사를 판단하는 근거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단점은 어떤게 있을까요?

 

1. 채무 불이행 리스크 있음

 먼저 없는 주식을 매도하기 때문에 주가가 예상과 다르게 상승하게되면 숏셀러(공매도 세력)은 현재 내가 빌린 주식 가격보다 비싼 가격으로 매수해야하기 때문에 파산에 이르기도 합니다. 말그대로 채무 불이행을 하게 되는거죠-

 

2. 무분별한, 근거없는 소문, 악의적 보고서 발행 가능성

 공매도 세력이 근거없는 보고서를 만들어서 시장에 배포한다면, 판단력이 흐리거나, 부족한 사람들은 그 보고서를 보고 착각을 해서 잘못된 선택을 할 수도 있습니다. 공매도 세력은 뒤에서 웃고 있겠죠... ㅡ.ㅡ

 

이처럼 공매도는 순기능과 역기능이 존재합니다.

그래서 "공매도는 무조건 나쁜 것이다" 라고 말할 수는 없을 것 같습니다.

미국에서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가 발생했을 때 공매도를 통해서 많은 부를 이룬 마이클버리를 다룬 영화가 있죠.

바로 '빅쇼트' 입니다.

 

공매도가 더 궁금하시다면 해당 영화를 재미있게 보시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이상, 산책가장 이었습니다 ^.^

반응형

댓글